mv
mv는 move의 약자로서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파일명을 변경하고자 할때 사용한다.
사용형식 : mv 파일명1 파일명2
파일명1을 파일명2로 파일명을 변경한다. 이는 cp 명령어와 rm 명령어가 연속으로 사용된 것과 같다.
만일 test2가 디렉토리명이라면 test파일이 test2 디렉토리로 이동되어진다. 파일이름뿐만 아니라 디렉토리명도 변경할 수 있다. verbose (말이 많은 이라는 뜻 파일 이동 경로를 상세하게 알려준다.)
rename
rename은 하나 혹은 하나 이상의 파일명을 일괄 변경할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특정 파일들의 확장자를 동일하게 수정할때 많이 사용된다.
사용형식 : rename 변경전파일명 변경후파일명 대상파일
rename은 파일패턴문자(?, * 등)를 인식하기 때문에 여러 개의 파일에 동시 사용이 가능하다.
rm
rm은 파일을 삭제할 때 사용된다. 옵션으로 -r을 하면 파일의 디렉토리까지 지우며 -rf를 할경우 보호되고 있는 경로까지 재귀적으로 찾아가며 삭제를 한다.
사용형식 : rm 파일명, rm -r 파일명, rm -rf 파일명
pwd
pwd는 현재의 경로를 알려준다.
touch
파일을 만들어준다. stat 옵션으로 modify, change (파일 내용 수정 시에만, 상태변경 시에만)
cat
파일의 내용을 읽는다.
less
한번에 보여지는 만큼만 읽어서 출력
more
tail
파일의 마지막 행을 기준으로 지정한 행까지의 파일내용 일부를 출력하는 명령어 리눅스에서 오류나 파일로그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때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cp -r, -p
특정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다른 파일이나 디렉토리롤 복사하는 명령어
grep (global regualr Expression print)
파일내에서 원하는 패턴을 검색하고, 해당 패턴을 포함하고 있는 모든 행을 출력하는 명령어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vi 편집기 (2) | 2023.04.17 |
---|